군산은 전라북도에 위치하고 있는 도시로 근대역사와 해양이 결합되어 있는 도시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맛있는 음식도 많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여행으로 군산을 방문하게 됩니다.
군산의 경우 금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어 금강과 바다가 만나는 곳이기도 하고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의 특성으로 인하여 물이 빠지는 간조 시에 드넓은 서해안의 갯벌을 만날 수 있습니다.
특히 군산의 선유도의 경우 차로 이동이 가능한 섬이고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기 때문에 갯벌에 많은 조개들과 작은 게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을 만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들 동반한 가족들의 경우 아이들이 마음껏 놀아도 다치지 않는 갯벌과 조개 등을 직접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체험을 많이 할 수 있는 선유도에 많이 방문합니다.
군산 선유도의 물때를 확인하여 보고 물때에 맞는 갯벌 방문 시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군산 선유도 물때표
군산 선유도 10월 물때표
군산 선유도 11월 물때표
군산 선유도 12월 물때표
군산 선유도의 물때표를 알아보았습니다. 혹시 이후의 물때표가 궁금하신 분들이 계신가요? 그렇다면 국립해양조사원의 스마트 조석예보에 접속하여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운영하는 스마트 조석예보에 들어가면 군산 선유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모든 지역의 물때를 한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방문하실 날짜와 지역을 확인 후에 물때를 검색하시면 만조와 간조의 시간이 자세히 확인 되니 정부에서 운영하는 국립해양조사원의 스마트 조석예보를 잘 이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와같이 군산 선유도 물때표를 알아보았습니다. 고일 때가 만조로 물이 해안까지 차오르는 것이고 저일 때가 간조로 물이 바다 쪽으로 빠져나간 시간입니다. 갯벌 체험을 하기 원하는 분들의 경우 이 시간을 잘 확인하고 여행 계획을 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간조(저) 시간에 맞춰 일정을 짜야하는데요.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간조 시간(저)에 시간을 딱 맞추면 절대 안 됩니다.
선유도 갯벌 체험 시간 팁
만약 간조(저) 시간이 정오 12시라 가정한다면 반대로 생각하면 이 시간 이후부터는 물이 다시 해안으로 들어온다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갯벌 체험을 그때 시작하면 물이 금세 차오르기 때문에 갯벌 체험을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간조(저) 시간 2시간 전에 방문하여 물이 어느 정도 빠져나간 상태에서 갯벌 체험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시간입니다.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음력 15일, 30일경을 전후하여 3~4일 정도가 갯벌 체험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하니 꼭 여행 계획을 세우실 때 참고 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