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 있어 다양한 해양 생물이 존재합니다. 바다의 따라 해양 생물이 달라 바다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을 채취 혹은 포획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변화된 환경으로 인하여 바다와 바다에 사는 생물 또한 보호해야 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어린 치어를 잡는다던가 산란을 앞둔 해양생물을 포획하여 잡을 경우 새로 자라는 생물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그런 문제를 보고하고자 금어기를 두어 해양생물이 산란하는 시기에 포획을 금지하거나 혹은 작은 치어를 잡지 못하게 하고 있는데요.
바다낚시를 하시는 분들이라 제철 해산물을 구매하시는 분들에겐 금어기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별 금어기를 확인하고 포획금제체장과 그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확인하고 위반 시 처벌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금어기
1월 3월 4월 5월 금어기 어종
월 | 품종 | 금어기간 | 포획금지 체장 |
1월 | 명태 | 1.1~12.31 | |
대구 | 1.16~2.15 | 35cm | |
3월 | 가리비 | 3.1~6.30 | |
4월 | 살오징어 | 4.1~5.31 | 15cm |
(단, 근해채 낚기, 연안복하브 정치망 4.1~4.30) | |||
고등어 | 4.1~6.30 | 21cm | |
수산자원의 포획금지기간에 관한 고시 | |||
5월 | 코끼리 조개 | 5.1~5.31 | 25cm |
삼치 | 5.1~5.31 | ||
참문어 | 5.16~6.30 | ||
(시·도지사는 5.1~9.15 중 46일 이상 지정 가능) | |||
대하 | 5.1~6.30 | ||
전어 | 5.1~7.15 | ||
(단, 강원, 경북 제외) | |||
말쥐치 | 5.1~7.31 | 18cm | |
주꾸미 | 5.11~8.31 |
6월 7월 금어기 어종
월 | 품종 | 금어기간 | 포획금지 체장 |
6월 | 낙지 | 6.1~6.30 | |
(시·도지사는 4.1~9.30 중 1개월 이상 지정 가능) | |||
참홍어 | 6.1~7.15 | 42cm | |
꽃게 | 6.21~8.20 | 6.4cm | |
(단, 연평 7.1~8.31 / 백령, 대청, 소청 7.16~9.15) 수산자원의 포획금지기간에 관한 고시 |
|||
소라 | 6.1~6.30(여수 삼산면) 6.1~8.31(제주) 7.1~8.31(제주 추자도) 6.1~7.31(울릉, 독도) |
5cm (제주, 울릉, 독도 7cm) |
|
새조개 | 6.16~9.30 | ||
(단,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제주 6.1~9.30) | |||
대게 | 6.1~11.30 | 9cm | |
7월 | 갈치 | 7.1~7.31 | 18cm(항문장) |
(근해채낚기, 연안복합 제외) | |||
참조기 | 7.1~7.31 | 15cm | |
(단, 유자망 4.22~8.10) | |||
해삼 | 7.1~7.31 | ||
오분자기 | 7.1~8.31(제주) | 4cm(제주) | |
키조개 | 7.1~8.31 | 18cm (부산, 울산, 강원, 경북, 경남) |
|
붉은대게 | 7.10~8.25 | ||
(단, 강원 연안자망 6.1~7.10) | |||
옥돔 | 7.21~8.20 |
9월 10월 11월 12월 금어기 어종
월 | 품종 | 금어기간 | 포획금지 체장 |
9월 | 전복류 | 9.1~10.31 | 7cm (제주 10cm) |
(제주 10.1~12.21) | |||
넓미역 | 9.1~11.30(제주) | ||
단, 제주도 고시로 5.1~11.30 중 3개월 이상 지정 가능) | |||
10월 | 연어 | 10.1~11.30 | |
톳 | 10.1~익년 1.31 | ||
11월 | 쥐노래미 | 11.1~12.31 | 20cm |
우뭇가사리 | 11.1~익년 3.31 | ||
12월 | 문치가자미 | 12.1~익년 1.31 | 20cm |
위와 같이 기간별로 포획인 금지가 되는 금어기가 적용됩니다. 해당 금어기는 2023은 개정된 최신 금어기를 기준입니다. 그리고 금어기뿐만 아니라 어리고 작은 해상 생물을 보고하기 위하여 포획이 금지된 체장이 정해져 있습니다. 금어기 어종의 표에 표시된 포획금지 체장을 확인하시고 그 외 생물은 아래 표를 확인해 주세요.
어종별 포획금지 체장
품종 | 포획금지체장 |
기름가자미 | 20cm |
기수재첩 | 1.5cm |
갯장어 | 40cm |
넙치 | 35cm |
농어 | 30cm |
도루묵 | 11cm |
대문어 | 600g |
돌돔 | 24cm |
미거지 | 40cm |
민어 | 33cm |
방어 | 30cm |
볼락 | 15cm |
붕장어 | 35cm |
용가자미 | 30cm |
조피볼락 | 23cm |
참가자미 | 20cm |
참돔 | 24cm |
청어 | 20cm |
어류의 경우 전장과 항문장 체반폭에 따라 체장을 측정하고 갑각류의 경우 두흉갑장을 기준으로 합니다. 오징어류는 외투장, 패류는 각장과 각고 기준입니다. 그리고 갑각류의 게종류 4개의 경우 4종은 연중 포획인 금지됩니다.
어류 측정방법
갑각류 측정방법
오징어류 측정방법
패류 측정방법
위와 같이 해양 생물에 종류에 따라 체장을 측정하고 체장 크기보다 작다면 낚시를 하면 안 됩니다. 어쩔 수 없이 잡혔다면 다시 놓아주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포획금지 체장 생물 외에도 연중 포획이 금지되어 있는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암컷 포획금지 4종(연중 포획금지)
품종 | 포획금지기준 |
꽃게 | 복부 외포란 암컷 |
민꽃게 | |
대게 | 암컷 |
붉은대게 |
위와 같이 금어기에 잡혔거나 금지체장 보다 작은 치어는 다시 놓아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금어기를 어기거나 금제체장을 어기고 포획할 경우 어업인은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비어업인은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치어를 지키고 채집하지 않는 것이 미래의 바다를 위해서는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최근 들어 수온의 변화로 인하여 바다 생물들에게도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 금어기와 금지체장을 지키는 것이 최상위 포식자인 인간이 해양 생물을 보호하고 지키며 같이 살아가는 방법입니다.
계절별 낚시 어종 확인하기 |
동해 속초 울진 포항 |
인천 평택 보령 태안 군산 부안 목포 |
제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