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당일 아침에 되면 조상님들께 차례를 지낸 후 가족의 어른들에게 세배를 올리는데요. 세배는 새해 아침에 어른들께 새래의 복과 건강을 기원하며 드리는 큰절로 세배를 받은 어른들은 좋은 덕담 함께 세뱃돈으로 큰절에 대한 보답을 해 주십니다.
설날 세배하는 방법
우리나라의 전통적이고 가장 큰 인사방식은 큰절에도 정해진 방법 있는데요. 큰절을 하기 전 손을 모으는 공수법과 큰절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공수법
절하기 전에 두손을 모아 허리 위치에 손을 올리는 것을 공수라고 하는데요. 공수법에는 평상시와 흉사 시로 구분이 됩니다. 평상시란 일반적인 인사 상황을 말하는 것이고 흉사시란 사람이 죽었을 때 즉 장례식장 등에 사용되는 것입니다. 손을 포개는 순서에 따라서 평사시와 흉사 시로 구분이 되는데요.
위에 표가 손의 위치 인데요. 설날의 세배는 평상시에 속하게 되므로 남자는 왼손이 위로 여성은 오른손이 위로 올라가게 공수를 취하시면 되겠어요. 이제 공수를 제대로 했다면 큰절을 해봐야 하는데요.
큰절법 / 남자
- 자세를 바로 하고 이때 공수한 손은 허리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섭니다.
-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립니다.
- 왼 발을 조금 뒤로 빼면서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습니다.
-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을 합니다.
일반적인 남성의 큰절 법인데요.남성은 어느 상황이던지 해당 방식으로 큰절을 하면 되는데요. 여성의 경우 큰절과 평절로 구분됩니다.
큰절법 / 여자
- 자세를 바로 하고 이때 공수한 손은 허리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섭니다.
-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립니다.
- 왼 발을 조금 뒤로 빼면서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습니다.
-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을 합니다.
큰절법은 남성의 방식과 동일합니다. 대신 어느 상황이든 남성과 공수법이 반대입니다. 큰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 및 의식행사(관례, 혼인례, 상례(장례), 제례(제사)) 시를 대상으로 합니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이내의 연장존속)
평절법 / 여자
- 자세를 바로 하고 이때 공수한 손은 허리 부분에 두고 바른자세로 섭니다.
- 공수한 손을 풀어 바로 선자세에서 무릎을 꿇고 앉습니다.
- 양손을 무릎 양부분 양 옆의 바닥을 짚으면서 절합니다.
평절은 절을 하는 사람에게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또래를 대상으로 합니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형수, 시숙, 시누이, 올케, 제수, 친구사이)
전통 인사 중에 가장 큰 인사인 큰절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는데요. 상황에 따라 그리고 성별 구분에 따라 바뀌는 공수법과 절 방법을 잘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